'것'은 한국어 입말에서 참 애용되는 표현입니다. 무슨 문장이든 '것'을 넣으면 더 원어민스러워진다고 하면 과언일까요? '그건 왜 그럴까'보다 '그건 왜 그런 걸까'가, '그건 좋지 않다'보다 '그건 좋은 게 아니다'가 일상에서 들을 법한 문장인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지만 간결함이 미덕인 글말에서는 (설령 대화문이라도) 이렇듯 별 뜻 없는 '것'들을 솎아내는 편이 글이 한결 깔끔해집니다.
영어는 한국어보다 추상화에 능하고 명사 비중이 큰 언어입니다. 한국어로 '새사람이 되려면 마음을 단단히 먹어야 한다'라고 할 것을 영어로는 'Turning over a new leaf requires determination'이라고 합니다. 다시 한국어로 직역하면 '새사람이 되는 것은 결단을 필요로 한다'가 되겠군요. 처음 문장에는 없었던 것이 생겼습니다. 이렇듯 것에 의존하는 문체는 번역 투의 특징이기도 하고, 글을 단조롭고 딱딱하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것을 피할 수 있을까요?
첫 번째는 비슷한 역할을 하는 일·편·바 따위로 갈음하는 방법입니다. 앞 문장만 해도 '갈음하는 것입니다'로 끝낼 수 있었지만 '방법입니다'로 대신했습니다. 마찬가지로 '몸 쓰는 것은 힘들다'는 '몸 쓰는 일은 힘들다'로, '조심하는 것을 추천한다'는 '조심하는 편을 추천한다'로, '아는 것 없다'는 '아는 바 없다'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일·편·바 등은 전부 '것'보다 범위가 좁고 구체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그때그때 적합한 표현을 골라 사용하면 시종일관 '것'을 쓰는 것보다 생생하고 다채로운 느낌을 줍니다.
두 번째는 동사의 어간을 활용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말에는 동작의 뜻을 나타내고 '-하다'가 붙어서 동사를 형성하는 명사가 참 많습니다. 이를테면 공부, 운동, 산책 따위입니다. 그러니까 '공부하는 것', '운동하는 것', '산책하는 것'이라고 늘여 쓸 이유가 적습니다. '공부는 지겹다', '운동은 힘들다', '산책은 즐겁다'라고 쓰면 그만입니다. 어간이 명사형이 아니라 그대로 쓸 수 없다면 유의어를 찾아서 대체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가령, '쉬는 것은 짜릿하다'는 '휴식은 짜릿하다'로 바꿔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