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애와 아이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를 검색하면 "아이의 준말"이라는 간결한 뜻풀이가 나옵니다. 그렇다면 얼핏 생각할 때 아이는 서로 바꿔 쓸 수 있어야 합니다. 를 쓸 자리에 아이를 써도 문제가 없고 아이를 쓸 자리에 를 써도 문제가 없어야 한다는 뜻이지요. 그런데 그럴 수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테면 친구끼리 이런 대화를 한다고 상상해 봅시다. 

다온: 아니 ㅋㅋㅋ 가 안경을 쓰고 지 안경을 찾고 있더라니까?
경진: 그래, 나 멍청하다. 뭐 보태준 거 있냐?
승현: 너무 놀리지 마라. 좀 모자라도 는 착하잖아...

 

이 예문에서 는 둘 다 경진(33)을 가리킵니다. 아이라고 부르기에는 나이가 있는 사람이지요. 그런데 라는 대명사가 어색하지 않은 것은 왜일까요? 여기서 는 나이보다도 친분 관계 또는 위계를 나타내는 표현이기 때문입니다. 경진보다 나이가 어리더라도 다온 입장에서 안면이 없거나 대하기 어려운 사람이라면 쉽사리 라고 부를 수 없을 겁니다. 즉, 아이라는 본말에는 없던 새로운 뜻이 라는 준말에 생겼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를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면 "이 아이가 줄어든 말"이라고 풀이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 아이 또는 이 애와 서로 바꿔 쓸 수 있을까요? 짐작하시다시피, 그렇지 않습니다. 역시나 예시를 들어봅시다.

다온: 와… 너무 맛있는데?
경진: 도 먹어봐. 먹을 만해.

 

여기서 는 둘 다 음식을 가리킵니다. 다온과 경진이 식인종이 아닌 이상 이 아이로 바꾸면 대화가 몹시 이상해집니다. 이 애로 바꾸는 경우는 비교적 낫지만, 어색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는 현대 한국어에서 가 흔히 '이거'의 대용어로 쓰이기 때문인데, 역시나 본말에 없던 새로운 용례가 줄임말에 생긴 예시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런 사례는 찾아보면 수없이 많습니다. 가령 이곳은 "여기를 문어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하지만, 전자의 쓰임새는 거의 장소에 한정되는 반면 후자는 사람에게 쓰이기도 하지요.

다온, 경진: [둘이서 다툰 경위를 설명 중]
승현: (다온을 가리키며) 여기가 먼저 잘못했네.

 

"이곳이 먼저 잘못했네."라고 하면 분명히 한국어인데 뜻을 알 수 없는 문장이 됩니다.